본문 바로가기

송림사3

칠곡 송림사 명부전 석조삼장보살좌상 칠곡 송림사 명부전 석조삼장보살좌상은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고 지정일은 2004년 10월 14일이다. 원래 석조품이나 현재 금칠을 해놓은 상태이고, 1665년에 조성된 작품이다. 국내에 삼장보살상이 불화가 아닌 환조로 제작된 경우는 송림사 명부전 석조삼장보살좌상이 유일하다고 한다. 천상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 3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좌우 협시를 두고 있는데, 협시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시왕상과 제상 중 일부이다. 세 보살상은 모두 통견에 선정인을 하고 있으며, 천상보살과 지지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고 지장보살은 민머리 모양의 소발을 하고 있다. 2023. 4. 14.
칠곡 송림사 명부전 목조시왕상과 제상 팔공산과 가산의 기슭에 위치한 고찰 송림사는 한국의 이름난 명찰 못지 않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송림사 오층전탑이다. 송림사에는 오층전탑을 위시한 총 5개의 보물과 1개의 유형문화재, 1개의 문화재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대웅전 우측에 보면 명부전이 자리하고 있는데, 명부전 안에 목조시왕상과 제상이 봉안되어 있다. 2004년 10월 14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이 조각상들은 삼장보살상(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며, 복장유물을 통해 천상보살 협시상을 제외한 나머지 조각상이 1665년에 조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2023. 4. 14.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대구 칠곡에서 팔공산 가는 길 중간, 칠곡군 동면면 구덕리에 천년고찰 송림사가 있다. 지도로 검색해 보면 가산에서 지마산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의 남쪽 기슭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팔공산에 소재한 많은 사찰 가운데 칠곡군을 대표하는 절이라 할 수 있다. 언뜻 겉으로 보기에 평범해 보이지만 송림사가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는 파계사를 넘어설 정도이다. 또한 경내가 매우 단정하고 답사객이 많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편안한 느낌이 든다. 송림사에는 총 5개의 보물 문화재가 있고, 그중 하나(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는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송림사 오층전탑 - 지정일 1963. 1. 21 송림사 오층전탑은 송림사를 대표하는 유물로 경내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올 만큼 그 자태가 아름답다. 또한.. 2023. 4. 13.